전체 글327 이규보, <대농부음> 가을, 농부가 흘리는 땀방울의 가치를 기억해야 할 시기 ■해석 농부를 대신하여 읊다(이규보) 밭이랑에 엎드려 비 맞으며 김을 매니 검고 추악한 몰골 어찌 사람의 모습이런가 왕손 공자여, 나를 업신여기지 말라 부귀와 호사가 모두 나로부터 나오느니 ■원문 代農夫吟(대농부음), 李奎報(이규보) 對雨鋤禾伏畝中(대우서화복무중) 形容醜黑豈人容(형용추흑기인용) 王孫公子休輕侮(왕손공자휴경모) 富貴豪奢出自儂(부귀호사출자농) ■글자풀이 對雨: 비를 맞다 鋤: 김매다 伏: 엎드리다 畝: 밭이랑 醜黑: 햇빛에 그을려 추하고 검다 容: 용모, 얼굴 休: ~하지 마라 侮: 업신여기다, 모욕하다 儂: 나, 우리 ■감상 이규보(1168-1241)는 백운거사(白雲居士)라는 호와 고구려의 건국신화를 다룬 의 작가로 잘 알려진 고려시대 .. 2022. 9. 25. 최치원, <추야우중> ■해석 가을 밤 비 내리는데(최치원) 가을 바람에 오직 괴롭게 읊조리나니 세상에 나를 알아주는 이가 적구나 창 밖에는 밤비 내리는데 등불 앞에서 고향을 그리는 마음 ■원문 秋夜雨中(추야우중), 崔致遠(최치원) 秋風惟苦吟(추풍유고음) 世路少知音(세로소지음) 窓外三更雨(창외삼경우) 燈前萬里心(등전만리심) ■글자풀이 惟: 오직 苦吟: 괴롭게 읊조리다 世路: 세상길 知音: 자기의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 백아와 종자기의 고사 三更: 23~01시(자시) 萬里心: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 ■감상 최치원(857-?)은 신라 말의 학자이자 문장가입니다. 어릴 때부터 천재성을 인정받아 당나라에 유학 가서 고운, 나은 등의 문인과 교류하면서 문명(文名)을 떨쳤습니다. 귀국 후에도 외교문서 등을 작성하며 문장가로 인정을 받았고.. 2022. 9. 24. 선(善)은 욕심을 가지고 행해야 선이라고 생각되는 것이라면 주저하지 말고 욕심내어 행할 것 극단적 개인주의인 위아설(爲我說)을 주장한 양주는 갈림길을 만나자 북으로도 갈 수 있고, 남으로도 갈 수 있음을 슬프게 여기며 울었습니다. 모두를 사랑하는 겸애설(兼愛說)을 제창한 묵적도 염료에 따라 실을 노랗게도 검게도 물들일 수 있음에 슬퍼서 울었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는 ≪회남자≫, 에 전하는데, 서로 다른 학설을 주장한 두 남자의 울음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눈물의 의미를 이해하려면 먼저 맹자와 순자의 학설을 절충한 양웅의 성선악혼설(性善惡混說)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한유는 인간성에 대해 고찰한 에서 사람의 성품을 상중하로 분류하였습니다. 선만 있는 최고의 상품(上品)과 교육으로도 불가능한 하품(下品), 교육에 따라서 결정지을 수 .. 2022. 9. 24. 대통령, 언격(言格)을 높이자 대통령의 막말이 불러온 국격의 훼손과 국치(國恥) 조선왕조는 태조의 건국부터 1910년 한일합방까지 모두 519년 동안의 왕조를 지켜온 나라입니다. 500년이 넘는 왕조의 정통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데는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지근거리에서 왕이 자경(自警)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 사관(史官)이 있었기에 가능하기도 했습니다. 이들은 비록 낮은 벼슬의 직급이었지만, 지존 또한 두려워하는 존재였습니다. 2인 1조로 짝이 되어 각각 왕의 오디오와 비디오를 담당하면서 왕의 일거수일투족을 기록하였기 때문입니다.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른 연산군도 세상에 그 누구도 무서울 것이 없었지만, 자신의 말과 행동을 기록하는 사관들만은 늘 껄끄러운 존재였음을 "오직 내가 두려워하는 것은 역사뿐이다(人君所畏者, 史而已)"라는 말.. 2022. 9. 23. 자녀 인성을 위한 격대교육의 필요성 자녀 인성교육에 조부모의 지혜가 더해져야! 조선 중기 이문건(1494-1567)은 매일 손자 양육에 대한 일들을 기록했습니다. 손자가 태어나 병치레를 했던 일부터 자라면서 속을 썩이는 모습에 이르기까지 그 내용이 자못 상세합니다. 현대의 부모들도 따라하지 못할 정도의 자세한 기록을 16년 동안이나 써내려간 것입니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뒤에 손자는 가르침을 잘 받들고 실천하여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하기도 했습니다. 이것이 조선시대 사대부 최초의 육아일기라고 전해지는 ≪양아록≫입니다. 남녀의 역할이 엄격했던 시대에 할아버지는 손자의 올바른 양육을 위해 일상의 세사한 일들을 일기체 형식으로 남긴 것입니다. 한 세대를 건너서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손자를 가르치는 것을 '격대교육(隔代敎育)'이라고 합니다. .. 2022. 9. 22. 자신을 탓하는 지혜 모든 원인을 나로부터 찾는 반성의 자세가 필요 고려 말 문신 이달충(?-1385)의 는 '칭찬하고[愛] 비난하는[惡] 것에 대하여' 잠언[箴]의 형식을 빌어서 쓴 글입니다. 이 글은 가상의 유비자(有非子)와 무시옹(無是翁)이라는 두 인물을 내세워 타인의 평가나 비난에 대한 대처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유비자는 무시옹에 대한 세상 사람들의 평가에 대해 물었고, 무시옹은 사람다운 사람이 나를 사람답다고 여기거나 사람답지 못한 사람이 나를 사람답지 못하다고 여긴다면 그것은 기뻐할 일이라고 대답합니다. 반대로 사람다운 사람이 나를 사람답지 않다고 여기거나 사람답지 못한 사람이 나를 사람답다고 한다면 이 또한 두려워할 일이라고 하였습니다. 남이 나에 대해서 내리는 평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평가를 내리는 사.. 2022. 9. 21. 김병연, <이십수하> ■해석 스무나무 아래(김병연) 스무나무 아래 서러운 나그네가 망할 놈의 마을에서 쉰밥을 얻어 먹네 인간 세상에 어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 집에 가서 설은 밥 먹는 것만 못하네 ■원문 二十樹下(이십수하), 金炳淵(김병연) 二十樹下三十客(이십수하삼십객) 四十村中五十食(사십촌중오십사) 人間豈有七十事(인간기유칠십사) 不如歸家三十食(불여귀가삼십사) ■글자풀이 -二十樹: 스무나무, 느티나무과에 속하는 나무 -三十: 서른, '서러운'과 발음이 유사하여 차용 -四十: 마흔, '망할'과 발음이 비슷하여 차용 -五十: 쉰 -食: 밥 -七十: 일흔, '이런'과 발음이 비슷하여 차용 -不如: ~만 같지 못하다 -三十: 서른, '설은(설익은)'과 발음이 유사하여 차용 ■감상 흔히 김삿갓이라고 불리는 시인인 김병연(1807.. 2022. 9. 20. 입 속에 호랑이가 산다 이야기 속 호랑이 고전 속 호랑이는 우리에게 친숙한 대상으로 자주 등장합니다. 민화나 문학 속에서의 모습은 어딘가 모자라고 어리숙한 표정으로 우스꽝스러운 행동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자신보다 곶감을 더 무서워해서 울음을 그친 아기 때문에 당황하기도 하고, 꾀 많은 토끼에게 호되게 골탕을 당해 그림자만 봐도 줄행랑을 치며, 떡 하나만 줘도 목숨을 구제해주던 마음씨 좋은 호랑이는 익살과 해학의 전령사 역할을 톡톡히 해주고 있습니다. 육당 최남선은 중국의 용, 인도의 코끼리처럼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동물은 호랑이라면서 조선을 '호담국(虎談國)'이라 불렀고, 한반도의 모습을 호랑이로 형상화해 놓기까지 했습니다. 단군신화부터 할머니의 옛날이야기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호랑이는 한국을 대표하는 친근한 동물이었던 것입.. 2022. 9. 20. 이전 1 ··· 36 37 38 39 40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