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한문

정여창, <두견(杜鵑)>

by !)$@@!$ 2023. 4. 5.
반응형

■해석

두견새(정여창)

 

두견은 무슨 일로 산꽃에 눈물을 뿌렸나

남은 한이 분명 옛일인 것을

원한이나 충성의 마음이 어찌 너 혼자이겠는가

충신지사 또한 결코 딴 마음이 없다네

 

■원문

杜鵑(두견), 鄭汝昌(정여창)

 

杜鵑何事淚山花(두견하사루산화)

遺恨分明託古査(유한분명탁고사)

淸怨丹衷胡獨爾(청원단충호독이)

忠臣志士矢靡他(충신지사시미타)

 

두견새

■글자풀이

  • 淚: 눈물
  • 古査: 오래된 뗏목
  • 丹衷: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충성
  • 胡: 어찌
  • 爾: 너(2인칭)
  • 矢: 맹세하다
  • 靡: 쏠리다, 복종하다

 

■감상

   정여창(1450-1504)의 자는 백욱(伯勗), 호는 일두(一蠹)이며, 하동이 본관입니다.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혼자 독서에 힘쓰다가 김굉필(金宏弼), 김일손(金馹孫)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습니다. 논어에 밝았고 지리산에 들어가 오경(五經)과 성리학의 근원을 탐구하는 학문에 힘썼으며, 예문관검열, 시강원설서, 안음현감 등을 역임하였습니다.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죽었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하기도 하였습니다. 저서에는 일두유집(一蠹遺集)이 있으며, 시호는 문헌(文獻)입니다.

 

   이 시는 일명 자규(子規)라고도 일컫는 두견새를 노래한 작품입니다. 두견새는 한시에서 작가의 감정을 대유(代喩)나 대변(代辨)할 때 자주 쓰이는 소재이기도 합니다. 먼저 화자는 두견새는 무슨 슬픈 일이 있는지 산꽃에 눈물을 흘리고 있냐고 묻습니다. 나라가 망한 한스런 일도 이제 과거의 일이 되어버렸는데, 임을 향해 우는 마음이 너뿐이겠냐면서 충신지사의 마음 또한 같은 마음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망국지한(亡國之恨)을 노래한 작가의 절의(節義)가 잘 드러나 있는 작품입니다.

반응형

'교양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굉필, <노방송(路傍松)>  (0) 2023.04.07
김일손, <도한강(渡漢江)>  (0) 2023.04.05
정여창, <안령대풍(鞍嶺待風)>  (0) 2023.04.05
유호인, <등조령(登鳥嶺)>  (0) 2023.04.04
김시습, <고목(枯木)>  (0) 2023.04.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