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한문

정여창, <안령대풍(鞍嶺待風)>

by !)$@@!$ 2023. 4. 5.
반응형

■해석

안령에서 바람을 기다리며(정여창)

 

바람을 기다리나 바람은 오지 않고

뜬구름만이 푸른 하늘을 가리고 있네

어느 날에 시원한 회오리바람이 불어와

모든 음기를 쓸어 내고 다시 하늘을 볼 수 있을까

 

■원문

鞍嶺待風(안령대풍), 鄭汝昌(정여창)

 

待風風不至(대풍풍부지)

浮雲藏靑天(부운장청천)

何日凉飆發(하일량표발)

掃却群陰更見天(소각군음갱견천)

 

뜬구름

 

■글자풀이

  • 鞍嶺: 함경도 종성에 있는 고개 이름
  • 待: 기다리다
  • 藏: 감추다
  • 凉: 시원하다, 서늘하다
  • 飆: 회오리바람, 폭풍
  • 掃: 쓸다
  • 却: 물리치다
  • 群: 무리, 떼
  • 陰: 음기
  • 更: 다시

 

■감상

   정여창(1450-1504)의 자는 백욱(伯勗), 호는 일두(一蠹)이며, 하동(河東)이 본관입니다.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혼자 독서에 힘쓰다가 김굉필(金宏弼), 김일손(金馹孫)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습니다. 논어에 밝았고 지리산에 들어가 오경(五經)과 성리학의 근원을 탐구하는 학문에 힘썼으며, 예문관검열, 시강원설서, 안음현감 등을 역임하였습니다.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죽었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하기도 하였습니다. 저서에는 일두유집(一蠹遺集)이 있으며, 시호는 문헌(文獻)입니다.

 

   이 시는 작가가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함경도 종성으로 유배되어 안령이라는 고개에서 지은 작품으로, 억울하게 유배당한 시인의 절의가 잘 드러나 있습니다. 좋은 세상을 의미하는 바람을 기다려보지만 바람은 불어오지 않고, 해를 가리는 뜬구름들만 하늘에 가득합니다. 이때 해는 군주(君主), 구름은 권신(權臣)을 의미한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어느 날인가 시원하게 회오리바람 같은 광풍(狂風)이 불어와서 온갖 음기(陰氣)들을 모두 쓸어버리고 푸른 하늘을 다시 볼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암울한 현실을 좋은 기운의 바람이 불어와서 모두 제거하기를 바라는 시인의 간절한 마음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반응형

'교양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일손, <도한강(渡漢江)>  (0) 2023.04.05
정여창, <두견(杜鵑)>  (0) 2023.04.05
유호인, <등조령(登鳥嶺)>  (0) 2023.04.04
김시습, <고목(枯木)>  (0) 2023.04.03
이항복, <야좌(夜坐)>  (0) 2023.04.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