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한문

김굉필, <독소학(讀小學)>

by !)$@@!$ 2023. 4. 7.
반응형

■해석

소학을 읽고(김굉필)

 

글을 읽어도 아직 천기를 알지 못했는데

≪소학≫ 속에서 어제의 잘못을 깨달았다네

이제부터 마음을 다해 자식의 직분을 하고자 하니

구차하게 어찌 잘 살기만을 부러워하겠는가

 

■원문

讀小學(독소학), 金宏弼(김굉필)

 

業文猶未識天機(업문유미식천기)

小學書中悟昨非(소학서중오작비)

從此盡心供子職(종차진심공자직)

區區何用羨輕肥(구구하용선경비)

 

소학(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글자풀이

  • 業: 과업(학문하는 일)
  • 猶: 오히려, 아직
  • 天機: 하늘의 기밀
  • 悟: 깨닫다
  • 昨: 어제
  • 供: 이바지하다
  • 區區: 구차하다
  • 羨: 부러워하다
  • 輕肥: 경구마비(輕裘馬肥, 가벼운 갖옷과 살찐 말)의 줄임말로, 부귀한 사람들의 차림새

 

■감상

   김굉필(14541504)의 자는 대유(大猷), 호는 사옹(蓑翁)·한훤당(寒暄堂)이며, 서흥이 본관입니다. 어려서부터 호방하고 거리낌이 없어 한때는 불성실한 행실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성장하면서 더욱 학문에 힘을 썼다고 합니다.

 

   김종직의 문인으로 들어가 소학에 심취해서 스스로를 소학동자(小學童子)’라 일컬었고, 소학을 통해 자신의 잘못을 깨달았다고도 했습니다. 사헌부감찰, 형조좌랑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몽주·길재·김종직으로 이어지는 유학사의 정통을 계승하였습니다. 저서로는 경현록(景賢錄), 한훤당집(寒暄堂集), 가범(家範)등이 있으며, 시호는 문경(文敬)입니다.

 

   작가는 평생토록 소학을 깊고도 성실하게 심취해 있었으며, 소학에 입각하여 처신(處身)이나 복상(服喪)을 대하는 자세를 익혀서 당대 사대부들의 귀감을 보였다고도 합니다. 이 작품 또한 소학을 읽고 쓴 시입니다. 항상 다양한 글을 읽어도 천기에 대해서 알지를 못했는데, 소학을 통해서 과거의 잘못을 깨닫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부모에게 마음을 다해서 자식 된 도리와 구실을 하고, 가볍고 따스한 가죽 옷이나 살찐 말을 부러워하는 호화스럽고 잘 사는 삶을 부러워하지 않겠다고 말합니다. 작가는 소학의 화신답게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으며, 이 책을 통해서 집안의 가범(家範)까지 이룰 정도로 을 이루었을 정도로 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교양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수광, <도중(途中)>  (0) 2023.04.07
정희량, <우서(寓書)>  (0) 2023.04.07
김굉필, <노방송(路傍松)>  (0) 2023.04.07
김일손, <도한강(渡漢江)>  (0) 2023.04.05
정여창, <두견(杜鵑)>  (0) 2023.04.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