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
대관령을 넘어 친정을 바라보며(신사임당)
어머니는 흰머리로 임영에 계시는데
이 몸은 서울로 향하여 홀로 가는 심정이랴
머리 돌려 북촌 마을을 때때로 바라보니
흰 구름이 날아 내리고 저녁 산은 푸르구나
■원문
慈親鶴髮在臨瀛(자친학발재임영)
身向長安獨去情(신향장안독거정)
回首北村時一望(회수북촌시일망)
白雲飛下暮山靑(백운비하모산청)
■글자풀이
- 慈親: 어머니
- 鶴髮: 백발
- 臨瀛: 강릉
- 身: 자신
- 長安: 서울
- 望: 바라보다
■감상
신사임당(1504-1551)의 아버지는 신명화(申命和)이고, 어머니는 이사온(李思溫)의 딸이며, 평산이 본관입니다. 조선의 대표적 경세가이자 학자인 이이의 어머니이며, 사임당은 당호(堂號)입니다. 이 말의 뜻은 중국 주나라 문왕의 어머니인 태임(太任)을 본받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신사임당은 온아한 천품과 예술적 자질을 갖추고 있으며, 완전한 예술인으로서의 생활로 어머니와 아내의 역할을 완벽히 해낸 인물로 평가를 받습니다. 나아가 조선의 시대적 분위기로 볼 때 유교적 여성상에만 안주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된 인간으로서의 인생을 스스로 개척한 여성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 시를 비롯하여 그림과 글씨에도 뛰어났고, 작품으로는 <산수도(山水圖)>, <초충도(草蟲圖)>, <노안도(蘆雁圖)> 등의 작품이 있습니다.
이 시는 작가가 38세에 대관령을 넘어 시댁으로 가면서 떠나간 친정을 바라보고 지은 작품입니다. 연세가 많아 흰머리도 늘어난 어머님은 지금 강릉 땅에 계시고, 화자는 홀로 서울을 향하고 있습니다.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노모를 남겨두고 떠나야 하는 자식의 심정은 헛헛하게 아프기만 합니다.
대관령에 이르러 고개를 넘기 전에 고향에 계신 어머니 쪽으로 머리를 돌려 바라보니 어머니가 계신 북촌 마을에는 해가 뉘엿뉘엿 넘어가고 푸른 산 위쪽으로는 흰 구름이 날아 내리고 있습니다. 해질녘 분위기를 통해 화자의 심정을 대변해 주는 듯한 작품입니다.
'교양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유, <곡석전선생(哭石田先生)> (1) | 2023.05.07 |
---|---|
김창흡, <방속리산(訪俗離山)> (0) | 2023.05.07 |
김창협, <산민(山民)> (0) | 2023.04.30 |
홍세태, <만월대가(滿月臺歌)> (0) | 2023.04.30 |
이황, <월영대(月影臺)> (0) | 2023.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