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강퍅자용(剛愎自用)

by !)$@@!$ 2023. 1. 28.
반응형

■의미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자기의 주장만 고집하면서 자기만 옳다고 여기는 사람들을 일컬을 때 쓰는 말입니다. 한마디로 자기 뜻대로 되기만을 원하는 황소고집처럼 고집불통의 사람을 비유할 때 사용합니다.

☞굳셀 剛, 괴팍할 愎, 스스로 自, 쓸 用

 

황소

 

■해설

   진(晉)나라와 초(楚)나라가 전쟁을 벌였는데, 승부가 나기도 전에 초나라 군사들이 후퇴하기 시작합니다. 이때 진나라 군대의 총사령관이자 중군(中軍) 주장(主將)인 순림부(筍林父)는 적군의 형세와 전반적인 정세를 분석한 결과 초나라 군대를 추격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그런데 부장(副將)인 선곡(先穀)이 순림부의 명을 따르지 않고 군사들을 거느려서 추격전을 벌였고, 순림보도 할 수 없이 군사들을 거느리고 추격을 하였습니다. 

 

   이때 초나라 군대 내부에서도 추격해오는 진나라 군을 보고 대부(大夫) 오삼(伍參)은 후퇴를 멈추고 진군을 공격하자고 하였고, 손숙오(孫叔敖)는 후퇴를 계속 주장하였습니다. 오삼은 초장왕(楚莊王)을 찾아가 싸워야 하는 정당성을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진나라의 순림보는 중군의 주장에 임명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명령을 따르는 사람이 별로 없습니다. 그리고 부장인 선곡은 고집이 세고 인정이 없기 때문에 명령에 따르려 하지 않습니다.······이번에 나가면 잔나라 군대를 반드시 패하게 할 수 있습니다."

(晉之從政者新, 未能行令, 其佐先穀剛愎不仁, 未肯用命,······篳此行也, 晉師必敗.)

 

   초장왕은 손숙오로 하여금 반격을 하게 해서 진나라 군대는 대패를 하고 초나라 군이 승리를 하였습니다. 이 이야기는 ≪좌전≫ <선공12년>에 나오는데, ≪좌전≫ <환공13년>에 나오는 '자용(自用)'이란 말과 함께 쓰여서 '강퍅자용'의 성어가 만들어진 것입니다. '강퍅'과 '자용'이 함께 쓰인 출처로는 ≪금사≫ <적잔합희전(赤盞合喜傳)>에 "성격이 고집불통이어서 제멋대로 하기를 좋아한다(性剛愎, 好自用)"라는 구절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문읍도(開門揖盜)  (0) 2023.01.30
개관사정(蓋棺事定)  (1) 2023.01.29
강노지말(强弩之末)  (1) 2023.01.28
갈불음도천수(渴不飮盜泉水)  (0) 2023.01.27
간장막야(干將莫耶)  (0) 2023.01.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