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한문

맹교, <유자음>

by !)$@@!$ 2022. 11. 4.
반응형

■해석

나그네의 노래(맹교)

 

자애로우신 어머니 수중의 바느질로

바로 길 떠나는 아들이 입을 옷을 만들었지

떠날 때 촘촘히 기우시는 것은

행여 늦게 돌아올까 걱정하신 때문인가

누가 말하리오, 한 치 풀같이 미약한 효심으로

봄날의 따스한 빛 같은 어머니 마음을 보답할 수 있다고

 

■원문

遊子吟(유자음), 孟郊(맹교)

 

慈母手中線(자모수중선)

遊子身上衣(유자신상의)

臨行密密縫(임행밀밀봉)

意恐遲遲歸(의공지지귀)

誰言寸草心(수언촌초심)

報得三春暉(보득삼춘휘)

 

■글자풀이

  • 遊子吟: 악부의 노래 제목으로, ≪악부시집≫에서 잡곡(雜曲)으로 넣고 있는 이 곡은 그 내용이 대부분 집을 떠난 나그네를 노래한 것
  • 慈: 자애롭다
  • 線: 바느질
  • 蜜蜜: 촘촘히
  • 恐: 두려워하다
  • 誰: 누구
  • 寸草心: 자식의 효심이 보잘것없음을 비유
  • 三春暉: 봄날의 햇빛, 어머니의 넓고 고루 미치는 사랑을 비유

 

어머니의 사랑

 

■감상

맹교(751-814)는 자는 동야(東野)이고, 호주 무강 사람입니다. 독특한 표현을 추구하여 자신만의 풍격을 형성하여 오언고시에 능했으나, 때로는 지나치게 난삽하다는 흠도 있습니다. 당시에 가도(賈島)와 함께 이름을 날려서 '교한도수(郊寒島瘦)'라고 하였는데, 이는 맹교와 가도를 병칭하여 어려움을 읊은 고음시인(苦吟詩人)의 대표로 불렀기 때문입니다. 

 

이 시는 어머니의 자애로운 마음을 읊은 시입니다. 3구의 '蜜蜜'과 4구의 '遲遲'는 어머니의 마음과 아들의 마음을 잘 대비해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密密'은 시인이 평범한 일도 예사롭게 보아 넘기지 않는 예리한 관찰력이 있으며, 그것을 시에 적절하게 응용할 수 있는 시인이라는 것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마지막 5,6구의 '寸草心'과 '三春暉'의 극명한 대비를 통해 주제를 확실하게 전달해주고 있으며, 이 부분이 어머니의 사랑을 표현한 시구 중에서도 명구(名句)로 꼽히는 부분입니다.

반응형

'교양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호연, <과고인장>  (0) 2022.11.05
두보, <강촌>  (0) 2022.11.04
춘야독작(2)-술에 대한 예의를 다하며  (0) 2022.11.04
맹호연, <유별왕시어유>  (0) 2022.11.03
정지상, <송인>  (0) 2022.11.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