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한문

정이오, <송인출수(送人出守)>

by !)$@@!$ 2023. 3. 22.
반응형

■해석

수령으로 떠나는 사람을 전송하며(정이오)

 

백성들은 생업을 잃어 먹을 것이 남아 있지 않고

마을은 쓸쓸하여 백성들은 꼬리가 붉은 물고기 신세라네

섣달에 눈이 오지 않아 봄이 또 가물겠거니

공이여, 가거든 모름지기 백성을 살릴 글 보시게나

 

■원문

送人出守(송인출수), 鄭以吾(정이오)

 

黎蒸失業食無餘(여증실업식무여)

井邑蕭條頳尾魚(정읍소조정미어)

臘雪不飛春又旱(랍설불비춘우한)

公歸須看活民書(공귀수간활민서)

 

■글자풀이

  • 黎蒸: 백성
  • 業: 생업
  • 蕭條: 쓸쓸한 모양
  • 頳: 붉다
  • 頳尾: ‘붉은 꼬리’라는 의미로, 백성들의 수고(고생)를 의미함
  • 臘: 섣달
  • 旱: 가물다
  • 須: 모름지기

 

■감상

   정이오(1347-1434)의 자는 수가(粹可), 호는 교은(郊隱우곡(愚谷)이며, 본관은 진주(晋州)입니다. 137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 삼사도사, 전교부령 등을 역임했습니다. 젊어서 이색, 정몽주 등과 교유하였으며, 노년에는 성석린, 이행 등과도 어울렸습니다. 신유학을 바탕으로 조선왕조의 문물 정비에 힘썼으며, 시적 재능이 뛰어나다는 찬사를 받았습니다. 저서로는 교은집(郊隱集), 火藥庫記(화약고기)가 있으며, 시호는 문정(文定)입니다.

 

   이 시는 칠언절구의 작품으로, 충주자사로 떠나는 사람에게 송별시로 준 한시입니다. 첫 구절부터 백성의 생업과 먹거리를 걱정하는 위민정신(爲民精神)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생업을 잃은 백성들은 먹을 것이 없고, 쓸쓸한 마을이 백성들의 힘듦을 대변해주는 듯합니다. 섣달에 눈조차 오지 않아 봄에도 가뭄은 계속될 것이고, 풍년을 기대하기는 더욱 힘들어 보입니다. 그래서 화자는 시적대상에게 부임하는 곳으로 가거든 백성들을 살릴 계책을 잘 마련해 보라고 당부와 희망을 드러내고 있는 것입니다.

반응형

'교양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계량, <근정전(勤政殿)>  (0) 2023.03.23
정철, <추일작(秋日作)>  (0) 2023.03.22
정이오, <죽장사(竹長寺)>  (0) 2023.03.22
정철, <추일작(秋日作)>  (0) 2023.03.21
성석린, 송승지풍악(送僧之楓岳)  (0) 2023.03.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