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한자11 나라 이름의 한자 표기 지금은 외래어 사용이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이었지만, 20세기에는 가차 방식의 표기를 빌려서 외국의 나라 이름들을 음만 따와 불렀습니다. 한자 개개의 뜻과는 상관없이 단순히 한자음만을 차용하여 적었으며,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어휘들이 되었습니다. 아래에 있는 나라 이름들은 그 중에서 우리가 가장 흔하게 많이 사용했던 대표적인 나라들의 한자명을 정리한 것입니다. 國 名 漢 字 러시아 俄羅斯(아라사), 露西亞(로서아) 영국 英國(영국) 터키 土耳其(토이기) 스페인 西班牙(서반아) 오스트리아 墺地利(오지리) 독일 獨逸(독일) 필리핀 比律賓(비율빈) 프랑스 佛蘭西(불란서) 태국 泰國(태국) 네덜란드 和蘭(화란) 인도 印度(인도) 폴란드 波蘭(파란) 오스트레일리아 濠洲(호주) 이집트 埃及(애급) 아시아 亞細亞.. 2023. 2. 23. '출생(出生)'과 '탄생(誕生)'의 비밀 ■'출생(出生)'의 의미 '출생(出生)'은 단어의 뜻 그대로 '아기(사람)이 세상에 태어나다'는 의미입니다. 출(出)이나 생(生)은 모두가 나온다는 의미의 한자입니다. 이때 '출'은 풀과 나무가 점점 자라서 위로 나온 모양을 본뜬 글자라는 뜻과 문 밖으로 발을 내놓아서 외출한다는 의미의 글자라고 합니다. '생'도 역시 초목이 밖으로 솟아 나온 모습을 본뜬 글자입니다. 우리는 보통 지위가 높아지거나 돈을 많이 벌었을 때 사용하는 단어인 '출세(出世)'라는 단어를 중국에서는 '출생'의 의미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아이가 소리를 내며 울면서 태어나는 것을 '고고의 성을 울린다'라고 표현하기도 하고, 입으로 소리내어 울기 때문에 이를 '고고지성(呱呱之聲)'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탄생(誕生)'의 의미 '탄생(誕.. 2023. 2. 22. 삼신(三神)할머니는 누구? 사람은 어릴 때부터 마치 출생의 비밀이 있는 것처럼 여러 말들을 들어왔습니다. 그중에 대표적인 말이 "너는 다리 밑에서 주워왔다"라는 말을 들으면서 겁을 먹기도 했습니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비슷한 표현이 있으며, 미국에서는 "배추밭에서 주워왔다"라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우리 조상들은 사람은 삼신(三神)에게 점지를 받아서 태어났다고 믿어 왔습니다. 삼신은 출산이나 육아에 관련된 집안의 신을 말하며, '삼신할매', '삼신바가지', '삼신할머니'가 있습니다. 곧 삼신은 아이를 배게 하고, 낳게 하고, 자라게 하는 것을 돕는 신으로, 집집마다 적어도 한 분씩은 있다고 믿었습니다. 삼신이란 말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전세(前世)와 현세(現世) 그리고 후세(後世)룰 주관하는 신이라고도.. 2023. 2. 22. 24절기 제대로 알기 ■정의 24절기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을 구분하려고 만든 것으로, 1년을 24개로 나누고 각 달에는 두 개의 절기가 들어가 있습니다. 절후(節候)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The Twenty-Four Solar Terms'라고도 합니다. 24절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내용 1월 입춘(入春) : 양력으로는 2월 4일경으로, 일 년 중에 봄이 시작한다는 날입니다. 가정에서는 악귀를 쫓기 위해 '입춘대길(入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등의 좋은 글귀를 써 붙이고, 마을에서는 입춘굿을 하기도 합니다. 우수(雨水) : 양력으로는 2월 19일경으로 눈이 비로 변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된다는 시기입니다. 대동강 물이 풀리고 물고기가 올라오며 기러기는 추운 지방을 찾아 떠나기도 합니다. 2월 경칩(驚蟄.. 2023. 2. 2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