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한문

유우석, <죽지사>

by !)$@@!$ 2023. 1. 10.
반응형

■해석

죽지사(유우석)

 

산 복숭아 붉은 꽃이 산 꼭대기에 가득하고

촉강의 봄물은 산을 치며 흘러가네

쉽게 시드는 붉은 꽃 님의 마음 같고

하염없이 흐르는 물 나의 근심 같구나

 

■원문

竹枝詞(죽지사), 劉禹錫(유우석)

 

山桃紅花滿上頭(산도홍화만상두)

蜀江春水拍山流(촉강춘수박산류)

花紅易衰似郞意(화홍이쇠사랑의)

水流無限似儂愁(수류무한사농수)

 

■글자풀이

  • 竹枝詞: 중국 사천 촉 땅의 민요를 바탕으로 한 한시의 한 형식, 주로 남녀의 정사(情事), 또는 지방의 풍속을 읊음
  • 上頭: 산 꼭대기
  • 拍: 치다, 때리다
  • 易: 쉽다
  • 郞意: 님의 마음
  • 儂: 나(1인칭)

 

복숭아나무

 

■감상

   유우석(772-842)은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으로 자는 몽득(夢得)입니다. 유종원과 교분이 매우 두터워서 '유유'라고 병칭되기도 했으며, 백거이와 시문을 주고받을 정도로 사이가 좋아서 '유백'이라고도 불렸습니다. 통속적이면서도 청신한 시를 잘 썼으며, 저서로는 ≪유빈객집≫, ≪유몽득집≫이 있습니다.

 

   이 시는 귀족적인 한시의 전통에서 볼 때 파격적으로 민간의 여류정감(女流情感)을 수용하고 표현한 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반부에서 산에 가득한 붉은 복숭아꽃과 산을 치며 흐르는 촉강의 강물은 그대로 어린 소녀의 열렬한 연애 감정과 섬세한 심리 흐름의 객관적상관물이 됩니다. 후반부에서는 시적화자의 진술과 결합하여 그 비유적 형상이 선명하게 떠오르고, 농촌 소녀의 순박하면서도 열렬한 연애 감정을 잘 표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교양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식, <제덕산계정주>  (0) 2023.01.12
김정희, <배소만처상>  (0) 2023.01.11
이제현, <산중설야>  (0) 2023.01.09
두보, <강남봉이구년>  (0) 2023.01.08
이숭인, <제승사>  (0) 2023.01.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