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랑4

이매창, <춘사(春思)> ■해석 봄 생각(이매창) 봄바람 불어오는 삼월 곳곳에서 지는 꽃잎이 날리네 비단옷 입고 상사곡을 부르지만 강남 간 임은 돌아오지를 않네 ■원문 春思(춘사), 李梅窓(이매창) 東風三月時(동풍삼월시) 處處落花飛(처처낙화비) 緣綺相思曲(연기상사곡) 江南人未歸(강남인미귀) ■글자풀이 飛: 흩날리다 綺: 비단 ■감상 이매창(1573-1610)의 자는 천향(天香), 호는 매창(梅窓)이며, 본명은 이향금(李香今)입니다. 계유년에 태어나서 계생(癸生), 또는 계량(癸娘, 桂娘)이라고도 하였습니다. 시문과 거문고에 뛰어났고, 당대의 문사인 유희경, 허균, 이귀 등과 어울렸습니다. 유희경의 문집에 계랑에게 준 시가 10여 편 전하고, 허균의 《성소부부고》에도 계랑과 시를 주고받은 이야기가 전합니다. 가늘고 여성적 어조의 .. 2023. 4. 15.
이매창, <규중원(閨中怨)> ■해석 규방에서의 원망(이매창) 옥 같은 동산에 배꽃은 피고 두견새 우는 밤 뜰 가득 달빛만 더욱 서럽구나 꿈에나 만나려 해도 도리어 잠은 안 오고 일어나 매화 핀 창가에 기대어 오경의 닭소리를 듣네 ■원문 閨中怨(규중원), 李梅窓(이매창) 瓊苑梨花杜宇啼(경원이화두우제) 滿庭蟾影更悽悽(만정섬영갱처처) 想思欲夢還無寐(상사욕몽환무매) 起倚梅窓聽五鷄(기의매창청오계) ■글자풀이 閨: 아녀자가 거처하는 방 瓊: 옥 杜宇: 두견새 啼: 울다 蟾影: 달빛 悽: 슬퍼하다 寐: 잠자다 倚: 의지하다 五鷄: 오경(03~05시)을 알리는 닭 ■감상 이매창(1573-1610)의 자는 천향(天香), 호는 매창(梅窓)이며, 본명은 이향금(李香今)입니다. 계유년에 태어나서 계생(癸生), 또는 계량(癸娘, 桂娘)이라고도 하였습니다... 2023. 4. 15.
이매창, <자한(自恨)> ■해석 자신을 한하며(이매창) 봄 날씨 차가워 얇은 옷을 꿰매는데 사창에는 햇빛이 비치고 있네 머리 숙여 손길 가는 대로 맡겨 구슬 같은 눈물이 실과 바늘 적시네 ■원문 自恨(자한), 李梅窓(이매창) 春冷補寒衣(춘랭보한의) 紗窓日照時(사창일조시) 低頭信手處(저두신수처) 珠淚滴針絲(주루적침사) ■글자풀이 補: 꿰매다, 보수하다 紗窓: 깁으로 바른 창 照: 비추다 淚: 눈물 滴: 방울지다, 물방울 ■감상 이매창(1573-1610)의 자는 천향(天香), 호는 매창(梅窓)이며, 본명은 이향금(李香今)입니다. 계유년에 태어나서 계생(癸生), 또는 계량(癸娘, 桂娘)이라고도 하였습니다. 시문과 거문고에 뛰어났고, 당대의 문사인 유희경, 허균, 이귀 등과 어울렸습니다. 유희경의 문집에 계랑에게 준 시가 10여 편 전.. 2023. 4. 12.
이매창, <증취객(贈醉客)> ■해석 취객에게 주다(이매창) 취한 손님이 비단 적삼을 잡으니 비단 적삼이 손길을 따라 찢어졌네 비단 적삼 하나쯤 아까울 것 없지만 다만 은정까지 끊어졌을까 두려워라 ■원문 贈醉客(증취객), 李梅窓(이매창) 醉客執羅衫(취객집라삼) 羅衫隨手裂(나삼수수렬) 不惜一羅衫(불석일라삼) 但恐恩情絶(단공은정절) ■글자풀이 贈: 주다 執: 잡다, 지키다 羅衫: 비단 적삼 裂: 찢어지다 惜: 아끼다 但: 다만 恐: 두려워하다 ■감상 이매창(1573-1610)의 자는 천향(天香), 호는 매창(梅窓)이며, 본명은 이향금(李香今)입니다. 계유년에 태어나서 계생(癸生), 또는 계량(癸娘, 桂娘)이라고도 하였습니다. 시문과 거문고에 뛰어났고, 당대의 문사인 유희경, 허균, 이귀 등과 어울렸습니다. 유희경의 문집에 계랑에게 준 시.. 2023.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