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곡3

장유, <곡박대관(哭朴大觀)> ■해석 박대관을 곡하며(장유) 함께 남쪽 고을 원으로 나갈 때에 그대는 용성 나는 금성으로 언제나 절절했던 어버이와 임금 생각 헤어져 있을 때도 서로의 우정 각별했네 서울에선 그 얼마나 교유가 성대했나 관각의 청현직 정말 영광스러웠지 어느새 모두가 지나간 자취 이 일 저 일 회상하니 눈물만 흐르누나 ■원문 哭朴大觀(곡박대관), 張維(장유) 共佩炎州玦(공패염주결) 龍城與錦城(용성여금성) 君親長繫念(군친장계념) 散聚各含情(산취각함정) 京洛交游盛(경락교유성) 名途館閣榮(명도관각영) 居然摠陳迹(거연총진적) 萬事一沾纓(만사일첨영) ■글자풀이 佩: 차다 玦: 패옥 繫: 매다, 묶다 聚: 모이다 含: 머금다 摠: 모두 迹: 자취 沾: 더하다 纓: 갓끈 ■감상 이 시는 망자인 박정(朴炡, 1596-1632)의 죽음을 .. 2023. 5. 7.
장유, <곡김장단상관(哭金長湍尙寬)> ■해석 장단의 김상관을 곡하며(장유) 내가 예전에 이상한 병 걸렸을 때 집까지 찾아와서 위문을 해 주었었지 떠도는 딱한 신세 서로 마음 의지하며 오랜 이별을 거듭 탄식하였는데 이렇듯 온갖 풍파 모질게 겪은 뒤에 외로운 삶 이슬처럼 허무하게 끝내다니 사립문 찾겠다고 전에 약속하였는데 이젠 다시 채소국 맛 보지도 못하겠소 ■원문 哭金長湍尙寬(곡김장단상관), 張維(장유) 我昔纏奇疾(아석전기질) 公來問弊廬(공래문폐려) 飄零相藉在(표령상자재) 契闊重欷歔(계활중희허) 萬事風波後(만사풍파후) 孤生露電虛(고생로전허) 柴門他日約(시문타일약) 不復煮秋蔬(불부자추소) ■글자풀이 昔: 옛날 纏: 얽히다, 묶다 廬: 집, 오두막 飄: 떠돌다 藉: 깔다, 빌다 契: 맺다 闊: 트이다, 통하다 欷: 흐느끼다, 울다 歔: 흐느끼다 .. 2023. 5. 7.
장유, <곡석전선생(哭石田先生)> ■해석 석전 선생의 서거를 애도하며(장유) 지난해 양강에서 작별을 할 때 가을 낙엽이 우수수 떨어졌지 술잔 잡고 옛날 흥취 되살리면서 또 만나자 손을 잡고 약속했는데 상하의 인사도 이젠 사양하시고 취하신 뒤 쓰신 시구 몇 점만 남았구나 봄바람은 부는데 한 주먹 눈물 아무리 씻어 내도 슬픔 더욱 새로워라 ■원문 哭石田先生(곡석전선생), 張維(장유) 去歲楊江別(거세양강별) 秋天落木時(추천락목시) 把盃還舊興(파배환구흥) 握手更前期(악수갱전기) 不復床前拜(불부상전배) 空留醉後詩(공류취후시) 春風一掬淚(춘풍일국루) 沾灑有餘悲(첨쇄유여비) ■글자풀이 哭: 애도하다, 울다 別: 이별하다 把: 잡다 盃: 잔 握: 잡다 掬: 움키다 淚: 눈물 沾: 더하다 灑: 뿌리다 ■감상 이 시는 석전(石田) 성로(成輅, 1550-1.. 2023.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