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왕유4

왕유, <송원이사안서> ■해석 원이를 보내며(왕유) 위성의 아침비가 가벼운 먼지를 적셔 주니 객사는 푸릇푸릇 버드나무 빛이 새롭네 그대에게 한 잔 술 또 비우기를 권하니 서쪽으로 양관을 나서면 친구도 없을 테니 ■원문 送元二使安西(송원이사안서), 王維(왕유) 渭城朝雨浥輕塵(위성조우읍경진) 客舍靑靑柳色新(객사청청유색신) 勸君更盡一杯酒(권군갱진일배주) 西出陽關無故人(서출양관무고인) ■글자풀이 元二: 원씨집의 둘째 使: 사신 가다 安西: 지금의 신강성(新疆省) 고거(庫車) 부근에 있던 지명 渭城: 장안의 서북쪽 浥: 적시다 更: 다시 陽關: 감숙성 돈황의 서남쪽에 있던 관문 故人: 친구 ■감상 왕유(701-761)는 성당(盛唐) 시기에 활동한 시인이자 화가, 음악가이고, 자는 마힐(摩詰)이며 태원(太原) 사람입니다. 전원시(田園詩).. 2022. 12. 31.
왕유, <신이오> ■해석 꽃은 피고 지고(왕유) 나무 끝의 부용화 산속에서 붉은 봉오리를 터뜨렸네 계곡 어귀엔 적막하여 인적도 없는데 어지러이 피었다가 또 지는구나 ■원문 辛夷塢(신이오), 王維(왕유) 木末芙蓉花(목말부용화) 山中發紅萼(산중발홍악) 澗戶寂無人(간호적무인) 紛紛開且落(분분개차락) ■글자풀이 辛夷塢: 망천(輞川)의 땅 이름으로, 망천 20경의 하나, '辛夷'는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이고, '塢'는 둑, 제방의 의미 萼: 꽃받침, 여기서는 꽃봉오리 澗戶: 산골짜기의 계곡 어귀 紛紛: 어지러운 모양 ■감상 왕유(701-761)는 성당(盛唐) 시기에 활동한 시인이자 화가, 음악가이고, 자는 마힐(摩詰)이며 태원(太原) 사람입니다. 전원시(田園詩)를 잘 지어서 당시 제일의 산수전원시인으로 인정받았고, 시의 표현은 .. 2022. 11. 20.
왕유, <종남별업> ■해석 종남산 별장(왕유) 중년이 되면서 자못 도를 좋아하여 만년에야 남산 기슭에 집을 지었네 흥이 나면 늘 혼자 나서니 좋은 일은 그저 나 혼자만 알 뿐 수원지 끝까지 가 보기도 하고 앉아서 구름이 피어나는 것을 보기도 하네 우연히 숲 속에서 노인이라도 만나면 서로 담소하느라 돌아갈 줄 모른다네 ■원문 終南別業(종남별업), 王維(왕유) 中歲頗好道(중세파호도) 晩家南山陲(만가남산수) 興來每獨往(흥래매독왕) 勝事空自知(승사공자지) 行到水窮處(행도수궁처) 坐看雲起時(좌간운기시) 遇然値林叟(우연치임수) 談笑無還期(담소무환기) ■글자풀이 別業: 별장 中歲: 중년 南山: 왕유가 별장을 지은 종남산 陲: 근처, 변두리 勝: 훌륭하다 値: 만나다 叟: 노인 還期: 집으로 돌아갈 시간 ■감상 왕유(700-761)는 성.. 2022. 11. 11.
왕유, <녹시> ■해석 사슴 울타리(왕유) 빈 산에 사람은 보이지 않고 단지 사람의 말소리만 들려오네 석양빛 깊은 숲 속을 들어와 다시 푸른 이끼 위에 비치네 ■원문 鹿柴(녹시), 王維(왕유) 空山不見人(공산불견인) 但聞人語響(단문인어향) 返景入深林(반경입심림) 復照靑苔上(부조청태상) ■글자풀이 柴: 울타리, 울짱 人: 주인 但: 다만 響: 소리 返景: 동쪽으로 되비치는 빛, 즉 석양 復: 다시 靑苔: 푸른 이끼 ■감상 왕유(701-761)는 불혹이 넘은 나이에도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자연을 벗하며 살았던 시인입니다. 전원시(田園詩)를 잘 지어서 당대(唐代) 제일의 산수전원시인으로 평가를 받았으며, 음악과 회화에도 뛰어났습니다. 이 작품은 '녹채'라고도 세간에 알려져 있는데 '사슴 울짱'이라는 의미의 '녹비'로 읽어야 .. 2022. 10.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