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생3 이이, <화석정(花石亭)> ■해석 화석정(이이) 숲 속의 정자에는 가을 이미 깊어 시인의 뜻이 끝이 없구나 먼 물줄기는 하늘에 닿아 푸르르고 서리를 맞은 단풍은 해를 향해 붉구나 산은 외로운 보름달을 토해놓고 강은 만 리의 바람을 머금었네 변방 기러기는 어디로 가는가 저물어가는 구름 속에서 소리가 끊어지네 ■원문 花石亭(화석정), 李珥(이이) 林亭秋已晩(임정추이만) 騷客意無窮(소객의무궁) 遠水連天碧(원수연천벽) 霜楓向日紅(상풍향일홍) 山吐孤輪月(산토고륜월) 江含萬里風(강함만리풍) 塞鴻何處去(새홍하처거) 聲斷暮雲中(성단모운중) ■글자풀이 亭: 정자 晩: 늦다 騷客: 시인(=騷人) 楓: 단풍나무 吐: 토하다 輪月: 보름달 含: 머금다 塞: 변방 鴻: 기러기 斷: 끊어지다 ■감상 이이(1536-1584)의 자는 숙헌(叔獻), 호는 율곡.. 2023. 5. 25. 예(禮), 사람다움의 실천 ■배려하는 인간관계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답다'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합니다. '그것이 지니는 성질이나 특징, 긍정적인 속성이 있다'는 뜻을 더해 주는 이 말은 보통 사람이 자신의 소임을 다해서 칭찬하거나 인정해 주는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자신의 일이나 책임을 충실하게 해낼 때 사람다움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이천 년 전에 공자도 임금과 신하, 아버지와 아들(君君臣臣, 父父子子)이 모두 그 '다움'을 주장하며 각자의 직분을 충실히 해야 한다는 것을 말했습니다. 사회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맺어진 집단입니다. '사람 인(人)' 자의 자형(字形)을 보더라도 작대기가 서로를 받쳐주고 의지하며 서 있는 것처럼 인간도 타인과 소통하면서 서로 부둥켜 살아가야 하는 존재입니다. 김광규 시인이 에서 말한 것처럼 '오직 하.. 2022. 10. 26. 신독과 무자기 자신이 가장 어려운 존재 후한의 양진은 청렴결백한 관리입니다. 일전에 동래 태수로 있을 때에 왕밀이란 자를 천거한 일이 있었는데, 그가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밤중에 금 열 근을 가지고 양진을 찾아왔습니다. 금을 양진에게 바치면서 지금은 한밤중이라 아무도 보는 사람이 없으니 안심하고 받으라 청합니다. 그러자 양진은 하늘이 알고(天知), 땅이 알고(地知), 그대가 알고(爾知), 내가 아는데(我知) 어찌 아무도 모른다고 하냐며 단번에 거절합니다. 양진의 이러한 반응에 당황한 왕밀은 자신의 행동을 부끄럽게 여기며 돌아갔습니다. 밤이 깊어서 아무도 모른다는 의미의 '모야무지(暮夜無知)'와 '양진사지(楊震四知)'라는 고사로, ≪후한서≫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인간에게는 두 가지의 모습이 존재합니다. 남과 함께 있는.. 2022. 9.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