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화시2

고경명, <어주도(漁舟圖)> ■해석 어주도(고경명) 갈대밭에 바람 불어 눈이 공중에 흩날리는데 술을 사 돌아와서 작은 배를 매어 두었네 빗겨 부는 피리 몇 소절, 강물 위의 달빛 자던 새가 물가의 안개 속에서 날아오르네 ■원문 漁舟圖(어주도), 高敬命(고경명) 蘆洲風颭雪漫空(노주풍점설만공) 沽酒歸來繫短篷(고주귀래계단봉) 橫笛數聲江月白(횡적수성강월백) 宿禽飛起渚煙中(숙금비기저연중) ■글자풀이 蘆: 갈대 颭: 살랑거리다 漫: 흩어지다 沽: 사다, 팔다 繫: 매다 篷: 작은 배, 거룻배 橫: 가로 笛: 피리 禽: 날짐승 渚: 물가 煙: 연기 ■감상 고경명(1533-1592)의 자는 이순(而順), 호는 제봉(霽峰)이며, 장흥이 본관입니다. 1552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동년 식년문관에 장원으로 급제해서 성균관전적에 임명되었습니.. 2023. 5. 18.
이달, <화매(畵梅)> ■해석 매화 그림을 보고(이달) 부풀어 오른 오랜 등걸만 있나 했더니 찬 향기가 매화인 걸 알았네 어젯밤 눈과 서리 속에서도 오히려 한 가지가 피어났구나 ■원문 畵梅(화매), 李達(이달) 擁腫古槎在(옹종고사재) 寒香知是梅(한향지시매) 前宵霜雪裏(전소상설리) 尙有一枝開(상유일지개) ■글자풀이 擁腫: 부풀어 오른 모양 槎: 나뭇가지 宵: 밤 裏: 속, 안 尙: 오히려 ■감상 이달(1539-1612)의 자는 익지(益之), 호는 손곡(蓀谷)이며 홍주가 본관입니다. 당시 유행하는 송시(宋詩)를 배웠고, 정사룡(鄭士龍)으로부터 두보의 시도 배웠습니다. 또한 이백, 왕유, 맹호연의 시에서 나타나는 오묘한 이치와 작품 세계를 깨달아 당시(唐詩)도 열심히 익혔습니다. 시풍이 비슷한 최경창(崔慶昌), 백광훈(白光勳)과 시.. 2023. 3. 31.